스피드정보통

다양한 생활 지식 정보를 제공합니다.

스피드정보통

다양한 생활 지식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머

외모가 이국적인 한국인들이 있는 이유

외모가 이국적인 한국인? 백정, 사냥꾼, 그리고 잊혀진 역사 속 이야기
한국 사회에서 때때로 마주하는 흥미로운 질문이 있습니다.
“왜 한국인인데 외모가 유독 이국적일까?”
높은 콧대, 진한 이목구비, 깊은 눈매를 가진 이들이 있을 때면, 단순히 “혼혈일까?”라는 추측이 오가곤 하죠. 하지만 이 질문의 진짜 해답은 생각보다 더 오래된 한국의 역사 속 진실에 숨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기 역사 웹툰의 내용을 바탕으로, 왜 어떤 한국인은 이국적인 외모를 가졌는지, 그 이유를 백정과 사냥꾼, 그리고 고려의 다문화 배경을 통해 설명해보려 합니다.

백정은 단순한 천민이 아니었다
우리는 흔히 ‘백정’ 하면 소 잡는 천민 계급으로만 기억합니다.
하지만 고려와 조선 초기의 백정은 단순한 도축업자가 아닌, 전문 사냥꾼이자 민간 군사조직이었습니다.

이들은 호랑이와 싸우는 전투력을 가졌고,

활, 창, 칼 등 무기를 자유자재로 다루며,

수렵 활동과 방위 활동까지 겸했던 군사적 기능 계급이었습니다.

즉, 이들은 조선 후기 신분 차별로 천시되기 전까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사람들입니다.

외모가 이국적인 이유: 고려와 원나라의 혼혈 흔적
특히 고려시대 후반에는 원나라(몽골 제국)와의 혼인 동맹, 군사 교류, 포로 교환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그 결과, 많은 몽골계 혼혈 후손들이 고려에 정착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

공민왕의 어머니는 원나라 출신

고려 왕실 대부분이 몽골 황족과의 혼인관계 형성

귀화 몽골인, 중앙아시아계 인물들이 군사 및 사냥 분야에 활약

이들이 조선 시대로 넘어오면서 백정층으로 분류된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즉, 오늘날 백정의 후손들 중 일부는 이국적인 외모를 자연스럽게 물려받은 것입니다.

사냥 기술과 외모, 유전자도 함께 전해졌다
만화 속에서도 묘사되듯, 백정들은 단순히 도축만 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호랑이와 맞서 싸우는 용맹한 전사

사냥기술 전수자

야인족, 몽골인, 여진족과 혼혈된 배경을 가진 자

특히 조선 초기 이후에는 이들이 도시 주변을 떠나 산간벽지에 정착하면서, 더 이상 공적인 기록에서 사라지게 되었고, 그들의 후손들은 지역민으로 동화되었지만, 외모나 체형은 유전적으로 잔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혼혈 아니고 진짜 한국인입니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가 “이국적으로 생겼다”고 느끼는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는 수백 년 전부터 한국 땅에 살아온 토종 한국인의 후손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역별로 보면:

함경도, 강원도 깊은 산골, 전라도 남부 해안, 경상북도 동해안 등에는 외모가 유독 진한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가 종종 전해집니다.

이는 역사적으로 사냥이나 방위활동, 대외 교류가 많았던 지역과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전보다 더 중요한 건 잊혀진 정체성
이야기의 핵심은 이것입니다.
단지 “얼굴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하거나 배제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그들의 혈통과 역사 속 뿌리가 한국의 역사와 깊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백정은 역사에서 천시받았지만,
그 본래의 정체는 왕도 의지한 전사,
사회의 안전을 지켜낸 실력자,
자연과 가장 가까이 살았던 전문가 집단이었습니다.

그들의 후손이 오늘날 이국적인 외모로 남아 있다면,
그건 우리 민족의 다양성과 융합의 역사를 증명하는 자취입니다.

마무리: 외모는 다양성의 일부일 뿐
우리는 때때로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려는 실수를 합니다.
하지만 이 만화가 보여주는 것처럼, 한국의 역사 속에는 이미 수많은 민족이 섞여 있었고,
그 흔적이 외모나 유전자의 형태로 남아 있는 것뿐입니다.

앞으로 누군가를 보고 “왜 이렇게 생겼을까?” 생각이 들 때는,
그 배경에 숨겨진 깊은 역사와 문화를 함께 떠올려보는 건 어떨까요?